![1406번: 에디터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FxY30%2FbtsBUBJyupF%2FsNqzm2QOxjwAiwhsayGyRk%2Fimg.png)
![스몰스테핑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manage/images/r3/default_L.png)
문제 출처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406
1406번: 에디터
첫째 줄에는 초기에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이 주어진다. 이 문자열은 길이가 N이고, 영어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으며, 길이는 100,000을 넘지 않는다. 둘째 줄에는 입력할 명령어의 개수
www.acmicpc.net
언어 : Kotlin
문제 설명 :
한 줄로 된 간단한 에디터를 구현하려고 한다. 이 편집기는 영어 소문자만을 기록할 수 있는 편집기로, 최대 600,000글자까지 입력할 수 있다.
이 편집기에는 '커서'라는 것이 있는데, 커서는 문장의 맨 앞(첫 번째 문자의 왼쪽), 문장의 맨 뒤(마지막 문자의 오른쪽), 또는 문장 중간 임의의 곳(모든 연속된 두 문자 사이)에 위치할 수 있다. 즉 길이가 L인 문자열이 현재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으면, 커서가 위치할 수 있는 곳은 L+1가지 경우가 있다.
이 편집기가 지원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.
L | 커서를 왼쪽으로 한 칸 옮김 (커서가 문장의 맨 앞이면 무시됨) |
D | 커서를 오른쪽으로 한 칸 옮김 (커서가 문장의 맨 뒤이면 무시됨) |
B | 커서 왼쪽에 있는 문자를 삭제함 (커서가 문장의 맨 앞이면 무시됨) 삭제로 인해 커서는 한 칸 왼쪽으로 이동한 것처럼 나타나지만, 실제로 커서의 오른쪽에 있던 문자는 그대로임 |
P $ | $라는 문자를 커서 왼쪽에 추가함 |
초기에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이 주어지고, 그 이후 입력한 명령어가 차례로 주어졌을 때, 모든 명령어를 수행하고 난 후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단, 명령어가 수행되기 전에 커서는 문장의 맨 뒤에 위치하고 있다고 한다.
- 첫째 줄에는 초기에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이 주어진다. 이 문자열은 길이가 N이고, 영어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으며, 길이는 100,000을 넘지 않는다. 둘째 줄에는 입력할 명령어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M(1 ≤ M ≤ 500,000)이 주어진다. 셋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 입력할 명령어가 순서대로 주어진다. 명령어는 위의 네 가지 중 하나의 형태로만 주어진다.
- 첫째 줄에 모든 명령어를 수행하고 난 후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을 출력한다.
제한 사항 :
- 시간 제한 : 0.3초
- 메모리 제한 : 512MB
입출력 예 :
입력 | 출력 |
abcd 3 P x L P y |
abcdyx |
abc 9 L L L L L P x L B P y |
yxabc |
dmih 11 B B P x L B B B P y D D P z |
yxz |
풀이 :
listiterator를 사용하였다.
iterator 인터페이스를 상속한 것으로 Collection의 List에 사용 가능하며, 접근, 추가, 삭제 등의 기능을 지원한다.
deque처럼 순방향, 역방향 순회가 가능하며, cursor가 존재한다.
단, 원래 객체를 참조하므로 iterator로 데이터 첨삭시 원 객체에도 바로 반영된다.
https://www.tcpschool.com/java/java_collectionFramework_iterator
import java.io.BufferedWriter
import java.io.OutputStreamWriter
import java.util.*
fun main() = with(System.`in`.bufferedReader()) {
val bw = BufferedWriter(OutputStreamWriter(System.out))
val str = readLine()
val list = LinkedList<String>()
str.forEach { list += it.toString() }
val iterator = list.listIterator(list.size)
val m = readLine().toInt()
repeat(m) {
val command = readLine().split(" ")
when (command[0]) {
"L" -> if (iterator.hasPrevious()) iterator.previous()
"D" -> if (iterator.hasNext()) iterator.next()
"B" -> if (iterator.hasPrevious()) { iterator.previous(); iterator.remove() }
"P" -> iterator.add(command[1])
}
}
bw.write(list.joinToString(""))
bw.flush()
bw.close()
}
'백준 > 문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693번: N번째 큰 수 (0) | 2023.12.14 |
---|---|
10799번: 쇠막대기 (0) | 2023.12.14 |
2857번: FBI (1) | 2023.12.12 |
4470번: 줄번호 (0) | 2023.12.12 |
2810번: 컵홀더 (0) | 2023.12.12 |
![스몰스테핑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manage/images/r3/default_L.png)
포스팅이 좋았다면 "좋아요❤️" 또는 "구독👍🏻" 해주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