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제 출처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504
언어 : Kotlin
문제 설명 :
4개의 기호 ‘(’, ‘)’, ‘[’, ‘]’를 이용해서 만들어지는 괄호열 중에서 올바른 괄호열이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.
- 한 쌍의 괄호로만 이루어진 ‘()’와 ‘[]’는 올바른 괄호열이다.
- 만일 X가 올바른 괄호열이면 ‘(X)’이나 ‘[X]’도 모두 올바른 괄호열이 된다.
- X와 Y 모두 올바른 괄호열이라면 이들을 결합한 XY도 올바른 괄호열이 된다.
예를 들어 ‘(()[[]])’나 ‘(())[][]’ 는 올바른 괄호열이지만 ‘([)]’ 나 ‘(()()[]’ 은 모두 올바른 괄호열이 아니다. 우리는 어떤 올바른 괄호열 X에 대하여 그 괄호열의 값(괄호값)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값(X)로 표시한다.
- ‘()’ 인 괄호열의 값은 2이다.
- ‘[]’ 인 괄호열의 값은 3이다.
- ‘(X)’ 의 괄호값은 2×값(X) 으로 계산된다.
- ‘[X]’ 의 괄호값은 3×값(X) 으로 계산된다.
올바른 괄호열 X와 Y가 결합된 XY의 괄호값은 값(XY)= 값(X)+값(Y) 로 계산된다.
예를 들어 ‘(()[[]])([])’ 의 괄호값을 구해보자. ‘()[[]]’ 의 괄호값이 2 + 3×3=11 이므로 ‘(()[[]])’의 괄호값은 2×11=22 이다. 그리고 ‘([])’의 값은 2×3=6 이므로 전체 괄호열의 값은 22 + 6 = 28 이다.
여러분이 풀어야 할 문제는 주어진 괄호열을 읽고 그 괄호값을 앞에서 정의한대로 계산하여 출력하는 것이다.
- 첫째 줄에 괄호열을 나타내는 문자열(스트링)이 주어진다. 단 그 길이는 1 이상, 30 이하이다.
- 첫째 줄에 그 괄호열의 값을 나타내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일 입력이 올바르지 못한 괄호열이면 반드시 0을 출력해야 한다.
제한 사항 :
- 시간 제한 : 1초
- 메모리 제한 : 128MB
입출력 예 :
입력 | 출력 |
(()[[]])([]) | 28 |
[][]((]) | 0 |
풀이 :
'(' 가 들어온다면 deque에 '(' 추가 후, temp *= 2
'['가 들어온다면 deque에 '[' 추가 후, temp *= 3
')', ']'가 들어왔을때, str[i - 1]이 각각 짝에 맞는 '(', '['라면 "()" or "[]" 형태가 완성되므로 result에 temp 값을 더한 뒤, temp에 괄호에 맞는 값(문제 설명에 제시된 값(3, 4번))을 나눠준다.
')', ']'가 들어왔을때, deque가 empty거나, str[str.lastIndex]가 각각 짝에 맞는 '(', '['가 아니라면 잘못된 형식이므로 break 시킨다. deque가 empty = 한 쌍이 제대로 만들어지게 된다면 deque에서 제거 되게끔 해놓았기에 ')', ']'가 들어올 때 deque가 empty인 건 틀린 형식이 주어졌다는 뜻이다. deque 안에 아직 무언가 들어있고, deque의 마지막에 있는게 '(', '['가 아니라면 틀린 형식이 만들어진다. ex) (], [)
import java.io.BufferedWriter
import java.io.OutputStreamWriter
fun main() = with(System.`in`.bufferedReader()) {
val bw = BufferedWriter(OutputStreamWriter(System.out))
var result = 0
var temp = 1
val deque = ArrayDeque<Char>()
val str = readLine().toCharArray()
for (i in str.indices) {
when (str[i]) {
'(' -> { deque.addLast('('); temp *= 2 }
'[' -> { deque.addLast('['); temp *= 3 }
')' -> {
if (deque.isEmpty() || deque[deque.lastIndex] != '(') { result = 0; break }
if (str[i - 1] == '(') result += temp
temp /= 2
deque.removeLast()
}
']' -> {
if (deque.isEmpty() || deque[deque.lastIndex] != '[') { result = 0; break }
if (str[i - 1] == '[') result += temp
temp /= 3
deque.removeLast()
}
}
}
if (!deque.isEmpty()) result = 0
bw.write("$result")
bw.flush()
bw.close()
}
'백준 > 문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935번: 소음 (1) | 2023.11.27 |
---|---|
1264번: 모음의 개수 (1) | 2023.11.27 |
11000번: 강의실 배정 (0) | 2023.11.23 |
10867번: 중복 빼고 정렬하기 (1) | 2023.11.23 |
4673번: 셀프 넘버 (0) | 2023.11.22 |
포스팅이 좋았다면 "좋아요❤️" 또는 "구독👍🏻" 해주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