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제 출처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4502
언어 : Kotlin
문제 설명 :
인체에 치명적인 바이러스를 연구하던 연구소에서 바이러스가 유출되었다. 다행히 바이러스는 아직 퍼지지 않았고,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 연구소에 벽을 세우려고 한다.
연구소는 크기가 N×M인 직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, 직사각형은 1×1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다. 연구소는 빈 칸, 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, 벽은 칸 하나를 가득 차지한다.
일부 칸은 바이러스가 존재하며, 이 바이러스는 상하좌우로 인접한 빈 칸으로 모두 퍼져나갈 수 있다. 새로 세울 수 있는 벽의 개수는 3개이며, 꼭 3개를 세워야 한다.
예를 들어, 아래와 같이 연구소가 생긴 경우를 살펴보자.
2 | 0 | 0 | 0 | 1 | 1 | 0 |
0 | 0 | 1 | 0 | 1 | 2 | 0 |
0 | 1 | 1 | 0 | 1 | 0 | 0 |
0 | 1 | 0 | 0 | 0 | 0 | 0 |
0 | 0 | 0 | 0 | 0 | 1 | 1 |
0 | 1 | 0 | 0 | 0 | 0 | 0 |
0 | 1 | 0 | 0 | 0 | 0 | 0 |
이때, 0은 빈 칸, 1은 벽, 2는 바이러스가 있는 곳이다. 아무런 벽을 세우지 않는다면, 바이러스는 모든 빈 칸으로 퍼져나갈 수 있다.
2행 1열, 1행 2열, 4행 6열에 벽을 세운다면 지도의 모양은 아래와 같아지게 된다.
2 | 1 | 0 | 0 | 1 | 1 | 0 |
1 | 0 | 1 | 0 | 1 | 2 | 0 |
0 | 1 | 1 | 0 | 1 | 0 | 0 |
0 | 1 | 0 | 0 | 0 | 1 | 0 |
0 | 0 | 0 | 0 | 0 | 1 | 1 |
0 | 1 | 0 | 0 | 0 | 0 | 0 |
0 | 1 | 0 | 0 | 0 | 0 | 0 |
바이러스가 퍼진 뒤의 모습은 아래와 같아진다.
2 | 1 | 0 | 0 | 1 | 1 | 2 |
1 | 0 | 1 | 0 | 1 | 2 | 2 |
0 | 1 | 1 | 0 | 1 | 2 | 2 |
0 | 1 | 0 | 0 | 0 | 1 | 2 |
0 | 0 | 0 | 0 | 0 | 1 | 1 |
0 | 1 | 0 | 0 | 0 | 0 | 0 |
0 | 1 | 0 | 0 | 0 | 0 | 0 |
벽을 3개 세운 뒤, 바이러스가 퍼질 수 없는 곳을 안전 영역이라고 한다. 위의 지도에서 안전 영역의 크기는 27이다.
연구소의 지도가 주어졌을 때 얻을 수 있는 안전 영역 크기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- 첫째 줄에 지도의 세로 크기 N과 가로 크기 M이 주어진다. (3 ≤ N, M ≤ 8)
-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도의 모양이 주어진다. 0은 빈 칸, 1은 벽, 2는 바이러스가 있는 위치이다. 2의 개수는 2보다 크거나 같고, 1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.
- 빈 칸의 개수는 3개 이상이다.
- 첫째 줄에 얻을 수 있는 안전 영역의 최대 크기를 출력한다.
제한 사항 :
- 시간 제한 : 2초
- 메모리 제한 : 512MB
입출력 예 :
입력 | 출력 |
7 7 2 0 0 0 1 1 0 0 0 1 0 1 2 0 0 1 1 0 1 0 0 0 1 0 0 0 0 0 0 0 0 0 0 1 1 0 1 0 0 0 0 0 0 1 0 0 0 0 0 |
27 |
4 6 0 0 0 0 0 0 1 0 0 0 0 2 1 1 1 0 0 2 0 0 0 0 0 2 |
9 |
8 8 2 0 0 0 0 0 0 2 2 0 0 0 0 0 0 2 2 0 0 0 0 0 0 2 2 0 0 0 0 0 0 2 2 0 0 0 0 0 0 2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|
3 |
풀이 :
풀이는 다른 글들을 조금 참고했다.
1. 주어진 입력과 조건대로 그래프를 만든다 (안전지대 0, 벽 1, 바이러스 2)
2. 백트래킹 or dfs등을 사용해 벽 3개를 세운 경우의 수를 얻는다.
3. 그때, bfs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바이러스를 확산시킨 뒤, 안전지대의 개수를 세어 최대값을 갱신한다.
4. 끝날때까지 반복하면 안전지대 최대값이 도출된다.
import java.io.BufferedWriter
import java.io.OutputStreamWriter
import java.util.*
var answer = 0
val virus = ArrayList<Pair<Int,Int>>()
val dx = intArrayOf(-1, 0, 1, 0)
val dy = intArrayOf(0, -1, 0, 1)
fun main() = with(System.`in`.bufferedReader()) {
val bw = BufferedWriter(OutputStreamWriter(System.out))
val (n, m) = readLine().split(" ").map { it.toInt() }
val visited = Array(n) { BooleanArray(m) }
val map = Array(n) { i ->
val st = StringTokenizer(readLine())
IntArray(m) { j ->
val cur = st.nextToken().toInt()
if (cur == 2) virus += Pair(i, j)
cur
}
}
combination(0, 0, n, m, map, visited)
bw.write("$answer")
bw.flush()
bw.close()
}
fun combination(idx: Int, cnt: Int, n: Int, m: Int, map: Array<IntArray>, visited: Array<BooleanArray>) {
if (cnt == 3) {
answer = answer.coerceAtLeast(bfs(n, m, map))
return
}
for (i in idx until n * m) {
val row = i / m
val col = i % m
if (map[row][col] != 0) continue
map[row][col] = 1
combination(i + 1, cnt + 1, n, m, map, visited)
map[row][col] = 0
}
}
fun bfs(n: Int, m: Int, map: Array<IntArray>): Int {
val queue: Queue<Pair<Int, Int>> = LinkedList()
repeat(virus.size) { queue += virus[it] }
val copiedMap = Array(n) { IntArray(m) }
repeat(n) { i ->
repeat(m) { j -> copiedMap[i][j] = map[i][j] }
}
while (queue.isNotEmpty()) {
val cur = queue.poll()
for (i in 0 until 4) {
val nx = cur.first + dx[i]
val ny = cur.second + dy[i]
if (nx !in 0 until n || ny !in 0 until m) continue
if (copiedMap[nx][ny] == 0) {
copiedMap[nx][ny] = 2
queue += Pair(nx, ny)
}
}
}
return copiedMap.sumOf { it.count { num -> num == 0 } }
}
원본 그래프는 사용하지 않고 복사하여 해당 복사한 그래프에 바이러스를 퍼트렸다.
'백준 > 문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4503번: 로봇 청소기 (0) | 2023.11.01 |
---|---|
15686번: 치킨 배달 (0) | 2023.10.31 |
1202번: 보석 도둑 (1) | 2023.10.20 |
11728번: 배열 합치기 (1) | 2023.10.19 |
5052번: 전화번호 목록 (0) | 2023.10.18 |
포스팅이 좋았다면 "좋아요❤️" 또는 "구독👍🏻" 해주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