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[Lv. 1] 성격 유형 검사하기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uJzZe%2FbtsmSvSUfWZ%2F6aKZoUrk2z3cOV68PPwaCK%2Fimg.png)
![스몰스테핑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manage/images/r3/default_L.png)
문제 출처 : 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18666
난이도 : Level.1
언어 : Kotlin
문제 설명 :
나만의 카카오 성격 유형 검사지를 만들려고 합니다.
성격 유형 검사는 다음과 같은 4개 지표로 성격 유형을 구분합니다. 성격은 각 지표에서 두 유형 중 하나로 결정됩니다.
지표 번호 | 성격 유형 |
1번 지표 | 라이언형(R), 튜브형(T) |
2번 지표 | 콘형(C), 프로도형(F) |
3번 지표 | 제이지형(J), 무지형(M) |
4번 지표 | 어피치형(A), 네오형(N) |
4개의 지표가 있으므로 성격 유형은 총 16(=2 x 2 x 2 x 2)가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"RFMN"이나 "TCMA"와 같은 성격 유형이 있습니다.
검사지에는 총 n개의 질문이 있고, 각 질문에는 아래와 같은 7개의 선택지가 있습니다.
- 매우 비동의
- 비동의
- 약간 비동의
- 모르겠음
- 약간 동의
- 동의
- 매우 동의
각 질문은 1가지 지표로 성격 유형 점수를 판단합니다.
예를 들어, 어떤 한 질문에서 4번 지표로 아래 표처럼 점수를 매길 수 있습니다.
선택지 | 성격 유형 점수 |
매우 비동의 | 네오형 3점 |
비동의 | 네오형 2점 |
약간 비동의 | 네오형 1점 |
모르겠음 | 어떤 성격 유형도 점수를 얻지 않습니다 |
약간 동의 | 어피치형 1점 |
동의 | 어피치형 2점 |
매우 동의 | 어피치형 3점 |
이때 검사자가 질문에서 약간 동의 선택지를 선택할 경우 어피치형(A) 성격 유형 1점을 받게 됩니다. 만약 검사자가 매우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할 경우 네오형(N) 성격 유형 3점을 받게 됩니다.
위 예시처럼 네오형이 비동의, 어피치형이 동의인 경우만 주어지지 않고, 질문에 따라 네오형이 동의, 어피치형이 비동의인 경우도 주어질 수 있습니다.
하지만 각 선택지는 고정적인 크기의 점수를 가지고 있습니다.
- 매우 동의나 매우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3점을 얻습니다.
- 동의나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2점을 얻습니다.
- 약간 동의나 약간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1점을 얻습니다.
- 모르겠음 선택지를 선택하면 점수를 얻지 않습니다.
검사 결과는 모든 질문의 성격 유형 점수를 더하여 각 지표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성격 유형이 검사자의 성격 유형이라고 판단합니다. 단, 하나의 지표에서 각 성격 유형 점수가 같으면, 두 성격 유형 중 사전 순으로 빠른 성격 유형을 검사자의 성격 유형이라고 판단합니다.
질문마다 판단하는 지표를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survey와 검사자가 각 질문마다 선택한 선택지를 담은 1차원 정수 배열 choic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이때, 검사자의 성격 유형 검사 결과를 지표 번호 순서대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 사항 :
- 1 ≤ survey의 길이 ( = n) ≤ 1,000
- survey의 원소는 "RT", "TR", "FC", "CF", "MJ", "JM", "AN", "NA" 중 하나입니다.
- survey[i]의 첫 번째 캐릭터는 i+1번 질문의 비동의 관련 선택지를 선택하면 받는 성격 유형을 의미합니다.
- survey[i]의 두 번째 캐릭터는 i+1번 질문의 동의 관련 선택지를 선택하면 받는 성격 유형을 의미합니다.
- choices의 길이 = survey의 길이
- choices[i]는 검사자가 선택한 i+1번째 질문의 선택지를 의미합니다.
- 1 ≤ choices의 원소 ≤ 7
choices | 뜻 |
1 | 매우 비동의 |
2 | 비동의 |
3 | 약간 비동의 |
4 | 모르겠음 |
5 | 약간 동의 |
6 | 동의 |
7 | 매우 동의 |
입출력 예 :
survey | choices | result |
["AM", "CF", "MJ", "RT", "NA"] | [5, 3, 2, 7, 5] | "TCMA" |
["TR", "RT", "TR"] | [7, 1, 3] | "RCJA" |
풀이 :
class Solution {
fun solution(survey: Array<String>, choices: IntArray): String {
val hashMap = HashMap<String, Int>()
hashMapInit(hashMap)
repeat(survey.size) {
val str = getScore(survey[it], choices[it]).split(" ")
if (str[0] != "X") {
hashMap[str[0]] = hashMap[str[0]]!! + str[1].toInt()
}
}
return getAnswer(hashMap)
}
fun getScore(surveyOf: String, choice: Int): String {
val (A, B) = surveyOf.chunked(1)
var score = 0
when (choice) {
1, 7 -> score += 3
2, 6 -> score += 2
3, 5 -> score += 1
}
return if (choice == 4) "X $score" else if (choice < 4) "$A $score" else "$B $score"
}
fun hashMapInit(hashMap: HashMap<String, Int>) {
hashMap["R"] = 0
hashMap["T"] = 0
hashMap["C"] = 0
hashMap["F"] = 0
hashMap["J"] = 0
hashMap["M"] = 0
hashMap["A"] = 0
hashMap["N"] = 0
}
fun getAnswer(hashMap: HashMap<String, Int>): String {
val sb = StringBuilder()
if (hashMap["R"]!! >= hashMap["T"]!!) sb.append("R") else sb.append("T")
if (hashMap["C"]!! >= hashMap["F"]!!) sb.append("C") else sb.append("F")
if (hashMap["J"]!! >= hashMap["M"]!!) sb.append("J") else sb.append("M")
if (hashMap["A"]!! >= hashMap["N"]!!) sb.append("A") else sb.append("N")
return sb.toString()
}
}
멍청하게 getScore로 choice == 4일 경우 X 0을 반환하게 해놓고, if 문으로 제어를 하지 않아 왜 런타임 에러가 나는지 의문을 갖고 고민하고 있었다.
당연히 hashMap에는 X라는 key가 없기 때문에 런타임 에러가 날 수 밖에 없는데...
'프로그래머스 > Level 1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v. 1] 신고 결과 받기 (0) | 2023.07.10 |
---|---|
[Lv. 1] 바탕화면 정리 (0) | 2023.07.10 |
[Lv. 1] 햄버거 만들기 (0) | 2023.07.07 |
[Lv. 1] 키패드 누르기 (0) | 2023.07.07 |
[Lv. 1] 크레인 인형뽑기 게임 (0) | 2023.07.06 |
![스몰스테핑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manage/images/r3/default_L.png)
포스팅이 좋았다면 "좋아요❤️" 또는 "구독👍🏻" 해주세요!